이력서, 포트폴리오 등 프로필을 얼마나 자주 살펴보고 업데이트하시나요? 저는 분기마다 업데이트한다고 계획하고 이전 프로필 상태 그대로 새로운 분기를 맞이하고는 합니다 (😇)
프로필에 내가 한 일을 어떻게 표현하고 보여주느냐에 따라 기회는 크게 달라집니다. 경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을 어떤 생각으로 했고, 이를 어떻게 보여주는지에서 차별점이 생기는 것이죠. 실제로 프로젝트별 목표와 결과를 명확히 제시한 포트폴리오가 그렇지 않은 것보다 평균 20% 이상 평가 점수가 높다고 합니다. 수많은 '이력서 작성법', '효과적인 포트폴리오 만들기' 같은 콘텐츠가 이를 증명해요.
잘 만들어진 프로필은 새로운 프로젝트나 커리어 전환의 길을 열어주기도 합니다. 노션이나 링크드인, 웹사이트로 프로필을 만들어 퍼스널 브랜딩에 활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요.
인사이트 #커리어 프로필
매력적인 커리어 프로필은 어떻게 만들까요? 플렉스웍에서 서류 합격률이 높은 프로필과 여러 플랫폼에서 공개한 자료에서 보이는 공통 패턴으로 알아봅시다.
💼 매력적인 프로필 만들기 TIP
☝️ 나만의 방식을 소개하고 어필하세요 같은 일을 해도 접근 방식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나만의 특별한 관점이나 방법론을 강조해 보세요.
단순한 디자인보다는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진짜 니즈를 파악한 후 UI를 설계합니다.
데이터 분석 시 항상 비즈니스 맥락을 먼저 이해하고 시작합니다.
☝️ 숫자로 말하세요
구체적인 숫자는 신뢰도를 높이고 임팩트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최근 AI가 먼저 프로필을 필터링하는 경우도 늘고 있기에 성과와 이력을 숫자로 보여주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마케팅 담당 → 월 광고비 500만 원으로 신규 고객 300명 유치, 매출 20% 증가 달성
개발 프로젝트 참여 → 사용자 10만명 서비스의 로딩 속도 30% 개선, 이탈률 15% 감소
☝️ 문제 해결 스토리를 포함하세요
'무엇을 했다'만 담는 것이 아니라 '어떤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함께 전달하세요. 어떤 문제 해결 방식을 가지고 있고, 함께 일한다면 어떤 식으로 협업할지 프로필을 보는 사람이 상상할 수 있도록요.
고객 응답률이 낮아 팀 전체가 고민하던 상황이었습니다. 아이데이션 미팅을 거쳐 개인화된 이메일 템플릿을 도입했고 응답률을 3배 향상시켰습니다. 이후 이 방식이 팀 전체 표준이 되었습니다.
☝️ 협업 스타일을 구체적으로 적으세요
앞서 말씀드린 스토리와 비슷한 효과를 만들어 냅니다. 구체적인 정보는 작성자를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게 만들어 불안감을 낮춥니다.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합니다 → 퇴근 전 진행 상황을 정리해서 공유하고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바로 질문합니다.
☝️ 꾸준히 업데이트하세요
프로필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신 경력을 추가하고 트렌드에 맞춰 이전 내용을 지속해서 최적화해야 합니다.